* 수질환경기사 필기 - 공정시험기준(유량측정법) - (5)
- 관내의 유량 측정방법이 아닌 것은 위어 Weir이다.
- 오리피스는 설치에 비용이 적게 들고 비교적 유량측정이 정확하여 얇은 판 오리피스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흐름의 수로 내에 설치한다.
- 오리피스의 장점은 단면이 축소되는 목부분을 조절함으로써 유량이 조절된다는 점이며, 단점은 오리피스 단면에서 커다란 수두손실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 공장폐수 및 하수의 관내 유량측정을 위한 측정장치 중 관내의 흐름이 완전히 발달하여 와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실직적으로 직선의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난류 발생의 원인이 되는 관로상의 점으로부터 충분히 하류지저메 설치하여야 하는 것은 벤튜리미터이다.
- 고형물질이 많아 관을 메울 우려가 있는 하, 폐수의 관내 유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자기식 유량측정기이다.
- 공장폐수 및 하수유량을 측정하는 장치 중 공정수에 적용하지 않는 것은 벤츄리미터이다.
- 공장폐수 및 하수유량 측정을 위한 웨어의 최대유속과 최소유속의 비는 500:1 정도이며, 웨어의 정확도 기준은 5% 정도이다.
- 수두차가 작아도 유량측정의 정확도가 양호하며, 측정하려는 폐수 중의 부유물질 또는 토사 등이 많이 섞여있는 경우에도 목부분의 유속이 상당히 빠르므로 부유물질의 침전이 적고 자연유하가 가능한 특징을 갖는 유량계는 파샬플룸이다.
- 최대 유량이 1m3/min 미만인 경우 용기는 용량 100L~200를 사용하여 유수를 채우는 데에 요하는 시간을 스톱워치로 재며 용기에 물을 받아 넣는 시간을 20초 이상이 되도록 용량을 결정한다.
- 최대 유량 1m3/min 이상인 경우 측정시간은 5분 정도, 수위의 상승속도는 적어도 매분 1cm 이상 어야 한다.
- 수로의 유량을 구하려면 표면유속이나 최대유속의 0.75를 곱하여 평균유속을 계산해야 하며, m/sec 단위에서 min의 단위로 바꿔주기 위해 60을 곱해 주어야 한다.
- 개수로 유량 측정시 10m를 측정구간으로 하여 2m마다 유수의 횡단면을 측정하고 산출평균값을 구하여 유수의 평균 단면적으로 하여야 한다. 유속의 측정은 부표를 사용하여 100m 구간을 흐르는 데 걸리는 시간을 스톱워치로 재며 이때 실측 유속을 표면 최대유속으로 한다.
- 개수로 유량측정 시 케이지(Chezy) 공식은 V = C(R*I) 1/2이다.
- 하천유량을 측정하는 경우 합류나 분류가 없는 지점, 교량 등 구조물 근처에서 측정할 경우 교량의 상류지점, 대규모 하천을 제외하고 가능한 도섭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점이어야 한다.
- 하천의 평균 유속을 구하려는 경우 수심 20% 지점의 유속과 80% 지점의 유속을 평균한 값으로 한다.
- 채취된 시료에는 보통 유기물 및 부유물질 등을 함유하고 있어 탁하거나 색상을 띠고 있는 경우가 있을 뿐 아니라 목적성분들이 흡착되어 있거나 난분해성의 착화합물 또는 착이온 상태로 존재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실험의 목적에 따라 적당한 방법으로 전처리를 한 다음 실험하여야 한다. 특히 금속성분을 측정하기 위한 시료일 경우에는 유기물 등을 분해시킬 수 있는 전처리 조작이 필수적이며, 전처리에 사용되는 시약은 목적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고순도의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공부(환경) > 관련 시험에 대한 기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질환경기사 - 공정시험기준(기기분석법) - (7) (0) | 2023.02.10 |
---|---|
수질환경기사 - 공정시험기준(시료의 전처리 방법) - (6) (0) | 2023.02.10 |
수질기사 필기 - 시험기준 - (4) (0) | 2023.02.10 |
수질환경기사 필기[Q-net] - 공정시험기준 - (3) (0) | 2023.02.10 |
수질환경기사 과목 두번째 시험의 기준 정리 (0) | 2023.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