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질환경기사 - 공정시험기준(기기분석법) - (7)
안녕하세요~ 환경의 신입니다. 수질오염 공정시험기준 6번째 정리 포스팅입니다.
1) 기기분석법
-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은 빛이 시료용액 중을 통과할 때 흡수나 산란 등에 의하여 강도가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시료물질의 용액 또는 여기에 적당한 시약을 투입하여 발색시킨 용액의 흡광도를 분석하여 시료 중의 목적이온 성분을 정량하는 방법으로 200~900nm 파장에서의 액체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수중의 각종 오염물질 분석에 적용한다.
-> 중금속류, 암모니아성 질소, 인, 시안, PCB, 계면활성제 등의 분석에 사용한다.
- 흡광광도 분석법은 일반적으로 광원으로 나오는 빛을 단색화장치 또는 거름종이에 의해 좁은 파장범위의 빛을 선택하여 액층을 통과시킨 후 광전측광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목적 성분의 농도만을 정량하는 방법이다.
- 광원부, 파장선택부, 시료부, 측광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광원부의 광원에는 텅스텐램프, 중수소 방전관 등을 사용한다. 가시부나 근적외부의 광원으로는 주로 텅스텐램프를 사용하고, 자외부의 광원으로는 주로 중수소 방전관을 사용한다.
- 흡수셀의 재질으로는 석영, 유리, 플라스틱이 있으며 석영은 자외부, 유리는 가시부와 근적외부, 플라스틱은 근적외부 파장범위를 측정할 때 사용된다.
2) 분광법 항목별 측정원리
- 불소: 정량한계 0.15, 란탄알리자린 콤플렉손 흡광도 620nm에서 측정
- 시안: 정량한계 0.01, 피리딘-피라졸론 620nm에서 측정
- 아질산성 질소: 정량한질계 0.004, a-나프틸에틸렌디아민염산염 540nm 측정
- 암모니아성 질소: 0.01, 인도페놀 630nm 측정
- 음이온 계면활성제: 0.02, 클로로폼 추출 650nm 측정
- 인산염 인: 0.003, 몰디브덴 청의 흡광도 690nm 측정
- 질산성 질소: 0.1, 흡광도 410nm 측정, 활성탄 흡착 시 0.3
- 총 인: 0.005, 880nm 측정
- 총 질소: 0.1, 220nm 측정, 카드뮴- 구리 환원법일 경우 0.004, 킬달법인 경우 0.02
- 페놀: 추출법일 경우 0.005, 직접법일 경우 0.05, 510nm, 460nm
- 구리: 0.01, 440nm 흡광도 측정
- 납: 0.004, 520nm 흡광도 측정
- 니켈: 0.008, 450nm 흡광도 측정
- 망간: 0.2, 525nm 흡광도 측정
- 비소: 0.004, 530nm 흡광도 측정
- 수은: 0.003, 490nm 흡광도 측정
- 아연: 0.01, 620nm 흡광도 측정
- 철: 0.08, 510nm 흡광도 측정
- 카드뮴: 0.004, 530nm 흡광도 측정
- 크롬: 0.04, 540nm 흡광도 측정
- 6가 크롬: 0.04, 540nm 흡광도 측정
3) 기타 분석법
- 불꽃 원자흡수분광광도법은 물속에 존재하는 중금속을 정량하기 위하여 시료를 2000~3000K의 불꽃 속으로 시료를 주입하였을 때 생성된 바닥상태의 중성원자가 고유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개별 고유 파장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 중의 원소의 농도를 정량하는 방법이다.
- 광학적 간섭은 비슷한 다른 원소의 파장이 겹쳐 높게 측정되는 것이며, 공명 에너지나 금속 불순물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이 경우에는 슬릿 간격을 좁게 함으로써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 시료 중 유기물 농도가 높은 경우 이들에 의한 복사선 흡수가 일어나 양의 오차를 유발하게 되므로 바탕선 보정을 실시하거나 분석 전 유기물을 제거하여야 한다.
- 물리적 간섭은 표준용액과 시료 또는 시료와 시료 간 물리적 성질의 차이 또는 표준물질과 시료의 매질 차이에 의해 발생한다. 표준용액과 시료 간 매질을 일치시키거나 표준물질첨가법을 사용하여 방지할 수 있다.
- 이온화 간섭은 불꽃온도가 너무 높을 경우 중성원자에서 전자를 빼앗아 이온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음의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시료와 표준물질에 보다 쉽게 이온화되는 물질을 과량 첨가하면 감소시킬 수 있다.
- 화학적 간섭은 불꽃의 온도가 분자를 들뜬상태로 만들기에 충분히 높지 않아서 해당 파장을 흡수하지 못하여 발생한다. 또는 간섭을 일으키는 금속을 킬레이트제 등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으로 정리를 마치고 다음 정리로 돌아오겠습니다!
'공부(환경) > 관련 시험에 대한 기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질환경기사 - 공정시험기준(기기분석법) - (9) (0) | 2023.02.11 |
---|---|
수질환경기사 - 공정시험기준(기기분석법) - (8) (0) | 2023.02.10 |
수질환경기사 - 공정시험기준(시료의 전처리 방법) - (6) (0) | 2023.02.10 |
수질환경기사 필기 - 공정시험기준(유량측정법) - (5) (0) | 2023.02.10 |
수질기사 필기 - 시험기준 - (4) (0) | 2023.0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