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의 포스팅은 한국, 일본, 독일, 이탈리아 등 세계의 국가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국가 - 애국가
사는 윤치호(尹致昊)·안창호(安昌浩)·민영환(閔泳煥) 등이 만들었다는 설이 있으나 어느 것도 공인되지 않았고, 곡은 1936년에 만들어져 1948년 8월 15일 정부수립과 함께 대한민국 국가로 불리게 되었다.
정부에 의하여 정식으로 국가로 제정되거나 채택된 것이 아니라, 관습적으로 국가로 불리다가 명실공히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노래가 되었다. 작곡자가 「애국가」의 가사를 처음 접한 것은 1919년 3·1 운동 때였다.
그 뒤 「애국가」가 스코틀랜드 민요「Auldlangsyne」, 즉 「이별의 노래」의 곡조에 붙여 불리는 것을 안타깝게 생각하여 한국사람인 자기가 직접 작곡해야겠다고 결심하고 1936년에 곡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같은 해 베를린올림픽에 참가한 한국선수단을 찾아가 그들과 함께 불렀는데, 우리나라의 「애국가」가 불린 것이 이때가 처음이었다.
곡은 가장조(또는 사장조), 4분의 4박자로 되어 있으며, 속도는 느리고 장중한 분위기의 악상을 가지고 있다. 모두 16마디로 되어 있으며, 4절의 가사로 된 유절 형식과 a-b-c-b의 a-b-c-b 구조로 된 두 도막형식으로 되어 있다. 간결하면서도 장중한 것이 특징이다. 「애국가」는 사용 용도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된다.
피아노 반주로 된 것이 원곡이고, 아무런 반주 없이 부르는 것과 악기만으로 연주되는 것이 있다. 반주가 있는 경우에는 4마디의 전주가 있고, 악기만으로 연주되는 경우에는 전주가 없다. 작곡자는 이 「애국가」를 주제로 하여 1936년에 자신의 대표작인 교향곡 「한국환상곡」을 작곡하였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애국가] 애국가[愛國歌] (한국민족문화 대백과, 한국민족문화 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일본의 국가 -기미가요
기미가요(君が代)라고 불리는 일본 국가(國歌)의 가사는 일본 천황의 시대가 영원하기를 염원하는 내용이 담긴 5줄 31음절이고, 4분의 4박 자이다.
“천황의 통치시대는 천년만년 이어지리라, 작은 돌이 큰 바위가 되고, 그 바위에 이끼가 낄 때까지”라는 내용의 가사는 10세기에 만들어진 고대 일본 시집 『고킨와카슈(古今和歌集)』 및 『와칸로에이슈(和漢朗詠集)』 등에 수록된 단가(短歌)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곡은 1880년 궁내성 아악과(雅樂課) 직원인 하야시 히로 모리(林廣守)가(林廣守) 선율을 붙인 것을 독일 음악가 프란츠 에케르트(FranzEckert)가 완성한 것이다.
1880년 메이지 천황의 생일 축가로 처음 연주된 이후부터 국가로 정착되었으며, 1999년 8월 9일 ‘국기 및 국가에 관한 법률’에 의해 국가로 법제화되었다. 법 제정 당시인 1999년 6월 29일 오부치 게이조(小淵惠三) 일본 총리는 중의원 본회의에서 “기미가요의 가사가 일본의 번영과 평화를 기원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라고 언급하였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일본의] 국가 (일본 개황, 2011, 외교부)
●독일의 국가 - 독일의 노래(독일어: Deutschlandlied)
오스트리아의 작곡가인 요제프 하이든은 이 곡을 프란츠 황제(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서는 1792년부터 프란츠 2세, 오스트리아 제국의 황제로서는 1804년부터 프란츠 1세)의 생일인 1797년 2월 12일에 헌상했는데, 이때부터 로렌츠 레오폴트 하슈카(독일어:Lorenz(독일어 Leopold Haschka, 1749-1827)의 가사 〈하느님, 프란츠 황제를 지켜 주시옵소서.(Gott erhalte Franz, den Kaiser)〉를 붙어 1918년까지 공식행사에서 자주 사용되었다. 이 노래의 선율은 하이든이 1796~1797년에 작곡한 〈황제 사중주〉(Op. 76의 3)의 제2악장이기도 하다.
이 노래는 황제가 바뀔 때마다 '프란츠'를 '페르디난트' 등으로 바꿔 불렀다. 1918년 11월 11일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면서 오스트리아는 1929년에 이 곡에 가사만 바꾼 것을 국가로 정했다. 오스트리아는 1946년에 이 노래 대신 모차르트 작곡의 선율을 다듬은 〈산의 나라, 강의 나라〉를 새로운 국가로 채택하였다.
독일의 여러 제후령에서 일어난 1848년의 민주화 혁명의 태동기인 1841년에 민족주의적 시인이자 대학교수였던 아우구스트 하인리히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독일어:August Heinrich Hoffmann von Fallersleben)은 이 곡에 독일민족주의를 찬양하는 가사를 붙였다.
독일의 국가(독일어:Nationalhymne)는 〈오이겐 왕자, 고귀한 기사(Prinz Eugen, der edle Ritter)〉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 노래는 1683년에 선율이 생기고 작사자가 미상인 채로 오스만 제국과의 베오그라드 공방전(1717년~1739년) 때에 불렸다. 그 이후 하이든 작곡, 팔러슬레벤 작사의 〈독일인의 노래〉를 포함해 3~4개의 각각 다른 노래들이 국가로 불리다가, 1922년 8월 11일에 바이마르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 프리드리히 에베르트(독일어:Friedrich Ebert)가 〈독일인의 노래〉를 국가로 공식 선포했다. 이 노래는 1945년 5월 7일에 나치 독일이 연합국에 항복할 때까지는 〈독일, 가장 뛰어난 독일이여(독일어:Deutschland, Deutschland über alles도이칠란트, 도이칠란트 위버 알레스[*])〉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한편, 아돌프 히틀러 치하에 국가 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의 당가(黨歌)가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Horst-Wessel-Lied, <깃발을 높이 올려라>)라는 이름으로 등장하여 국가에 준하는 대우를 받기도 했다.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의 패전 이후, 독일에는 한동안 국가(國歌)가 없었으나 1952년에 1절과 2절을 금지하는 조건으로 〈독일인의 노래〉가 국가로 부활했다. 1절 가사는 1841년 작사 당시에 게르만 문화가 퍼져 있는 범위를 경계선으로 하는 통일 국가 개념을 우위에 놓자는 호소였지만, 나치는 이를 독일 팽창주의를 정당화하는 근거로 해석했고 일부 사람들은 독일의 유럽 지배를 당연시할 근거로 오독(誤讀) 하기도(誤讀) 하였다. 이런 이유 때문에 1절은 금지되었다. 그러나, 독일에서 일부 네오나치들은 지금도 1절을 부르고 있다.
1990년 서독과 동독이 통일한 뒤 새로운 국가(國歌) 지정에 관한 논란이 있었으나, 결국 동독을 흡수통일한 서독의 국가가 독일 국가로 현재까지 쓰이고 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이탈리아의 국가 - 이탈리아인의 노래(Il Canto degli Italiani)
이탈리아인의 노래(Il Canto degli Italiani)는 이탈리아의 국가이다. 마멜리의 찬가(Inno di Mameli) 또는 이탈리아의 형제들(Fratelli d'Italia)로 불리기도 한다. 고프레도 마멜리(Goffredo mameli)가 작사하였고 미켈레 노바로(Michele Novaro)가 작곡하였다.
마멜리는 가리발디 장군 휘하의 장병으로 통일 전쟁에 참전했는데 1849년, 로마의 지나코로 언덕에서 전사했다. 마멜리가 지었던 시는 제노바 출신 작곡가인 노바로가 찾아냈고, 그는 곧 작사를 하게 된다.
이탈리아는 1861년부터 1922년까지는 Marcia Reale(왕의 행진)을 국가로 사용했고, 1922년부터 1943년까지는 Giovinezza(젊음)를 국가로 사용하였다. 1946년에 군주제가 폐지됨에 따라 '마멜리의 찬가'는 국가로 승인을 받게 되었다.
1절
Fratelli d'Italia, (프라텔리 디탈리아)
l'Italia s'è desta, (리탈리아 세 데스타)
dell'elmo di Scipio (델렐모 디 쉬피오)
s'è cinta la testa. (세 친타 라 테스타)
Dov'è la Vittoria? (도베 라 비토리아)
Le porga la chioma, (레 포르가 라 키 오마))
che schiava di Roma (케 스키아바 디 로마)
Iddio la creò. (이디오 라 크레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프랑스의 국가 - 마르세유의 노래 (프랑스어:La Marseillaise라 마르세예즈)
이 노래는 프랑스혁명 정부가 오스트리아에 선전 포고를 한 소식이 스트라스부르에 도착한 1792년 4월 25일부터 다음날 26일 밤 걸쳐 현지에 주둔하고 있던 공병 대위 루제 드 릴이 출정 부대를 고무하기 위해 하룻밤에 작사 작곡한 것이다. 이때 붙은 제목은 '라인 군을 위한 군가'(Chant de guerre pour l' armée du Rhin)였다. 릴 대위는 이 곡을 당시의 라인 강 방면 군 사령관 니콜라 뤼크네르 원수에게 바쳤다. 또한, 초기에는 6절까지만 있었으나, 현재 7절까지 있는 가운데 마지막 부분(“동요”)은 같은 해 10월 덧붙여진 장 밥티스트 뒤부아, 마리 - 조제프 세니에, 뒤부아 신부의 작품이라고 말하고 있다. 모두 15절까지 있으나 7절까지만 부르고 있다. 이후 튈르리 궁 습격 시 파리 입성했던 마르세유 의용군이 부르던 것을 계기로 현재 ‘라 마르세예즈’라는 이름이 되었고, 1795년 7월 14일에는 국가가 되었다. 그러나, 총재 정부 수립 이후부터 나폴레옹, 부르봉 왕조까지는 이 국가를 부르지 못하였고 1879년이 되어서야 공식 국가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 첫 제정에서 왕정복고 사이에는 “폭군(폭군)을 쓰러 뜨리는” 내용이 있었기 때문에 금지되었으나, 1830년 7월 혁명 이후에는 해금되어, 제3 공화제 아래에서 다시 국가로 제정되었고, 제4공화국의 《1946년 헌법》, 제5공화국의 《1958년 헌법》에도 ‘라 마르세예즈’를 국가로 결정한 취지가 명기되어 있다. 1830년 베를리오즈가 독창자와 이중 합창, 오케스트라를 위한 편곡을 했고, 또한 비틀스의 “All You Need Is Love”의 소개에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1979년 세르쥬 갱스부르의 앨범 '플라이 투 자메이카'에서 레게 버전으로 불렸다. 또한 차이콥스키의 "서곡 1812년 작품 49"와 로베르트 슈만의 "두 사람의 척탄병은 제정 러시아를 침공하는 나폴레옹 군의 상징으로 인용되고 있다.
또한, 현재 프랑스에서 가사 또는 노래 자체를 다시 만들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이것은 가사가 아이에게 노래하기에는 과격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유럽 통합 운동이 진행되는 현대에 주변국에 대한 적의가 가득 찬 노래를 남기는 것은 부적당하다는 의견이 있었지만, 결국 바꾸지는 않았다.
1942년 때 영화 《카사블랑카》에서는 라인강의 수비와 라 마르세예즈가 맞붙는 장면이 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미국의 국가 – 3개의 국가
미국은 지금까지 3가지의 국가를 사용하였다. 영국으로부터 독립하기 전의 식민지 미국은 1725년부터 1776년까지 영국의 국가인 「신이시여 폐하를 지켜주소서(God save the Queen)」를 국가로 사용하였으며, 독립 후인 1798년부터 1931년까지는 「컬럼비아 만세(Hail, Columbia)」를 사용하였다. 이후 1931년부터 지금까지는 현재의 국가인 「별이 빛나는 깃발(The Star-Spangled Banner)」을 사용하고 있다.
1931년까지 비공식적으로 사용되던 「컬럼비아 만세」는 1798년 당시 법률가인 조지프 홉킨슨(Joseph Hopkinson)이 작사한 곡인데, 조지프 홉킨슨은 미국 독립선언서의 서명자이며 미국 국기를 디자인한 것으로 전해지는 프랜시스 홉킨슨(Francis Hopkinson)의 아들이기도 하다.
이 노래는 조지 워싱턴(George Washington)이 미국 초대 대통령이 되면서 미국의 국가로 채택됐다. 그 뒤를 이어 국가로 사용되고 있는 「별이 빛나는 깃발(The Star-Spangled Banner)」은 법률가이자 시인이었던 프랜시스 스콧 키(Francis Scott Key)가 작사하였고, 곡조는 영국에서 술을 마실 때 부르는 「천국의 아나크레온에게(To Anacreon in Heaven)」라는 노래를 사용하였다.
프랜시스 스콧 키는 영국과 미국이 전쟁을 하던 1814년에 휴전 교섭을 위해 영국 군함을 방문하였는데, 영국의 집요한 공격에도 불구하고 꿋꿋하게 휘날리는 맥헨리 요새(Fort McHenry)의 미국 국기를 보고 감격하여 시를 지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 시가 나중에 국가가 된 것이다. 이 곡은 1931년 미국 대통령이었던 허버트 클라크 후버(Herbert Clark Hoover)의 요청으로 공식 국가로 인정되었다.
한편 지금의 국가는 ‘전쟁을 이용해 나라를 수호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며 미국인들 사이에 애창되는 「아름다운 미국(America the Beautiful)」이나 「신이여 미국을 축복하소서(God Bless America)」 등의 노래로 대체하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현재 국가의 가사는 다음과 같다.
「The Star Spangled Banner」
(Francis Scott Key)
Oh, say can you see, by the dawn’s early light,
What so proudly we hailed at the twilight’s last gleaming?
Whose broad stripes and bright stars, through the perilous fight,
O’er the ramparts we watched, were so gallantly streaming?
And the rockets’red glare, the bombs bursting in air,
Gave proof through the night that our flag was still there.
Oh say, does that star spangled banner yet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네이버 지식백과] 미국의 국가 (미국 개황, 2009.6, 외교부)
●북한의 국가 – 애국가(아침은 빛나라)
1945년 독립 이후 안익태가 작곡한 애국가가 한반도에 널리 퍼졌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자신의 체제에 맞게 국가를 따로 만들었다.
작사자 박세영은 일제강점기에 KAPF 활동을 하였으며, 당대의 저항 시인으로 이름이 높았다. 광복 후 북으로 건너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를 비롯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찬양하는 시를 여러 편 지었다. 작곡자 김원균은 김일성 장군의 노래를 작곡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표적인 음악가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에서는 2006년 평양음악대학의 이름을 김원균평양음악대학으로 개칭하였다.
4/4박자, 내림 나 장조로 ‘약간 느리고 장중하게’ 부른다. ‘찬란한 문화로 자라난’부터 ‘길이 받드세’까지는 본래 한 번만 부르도록 되어 있었으나, 김일성이 이 노래를 듣고 "우리나라는 찬란한 문화로 자라난 유구한 역사를 가진 나라인데 어떻게 한 번만 부를 수 있겠는가?"라고 하면서 두 번 반복해 부를 것을 제안해 지금과 같은 형태로 곡이 수정되었다. 2002년 아시안 게임 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공식 국가의 자격으로 참가하면서 국기 게양식 때 최초로 대한민국에서 공식적으로 이 곡이 연주되었다. 2007년 5월 30일 조선중앙통신사는, 조선 국가인 애국가가 재편곡되었으며 조선 당국이 새로운 국가 악보와 관련 문서를 세계 각국에 전송하였다고 밝혔다.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